[스크랩] 광명 78.3%, 안산 77.1%, 의정부 74.5% 고교 평준화 제도 도입 찬성 광명 78.3%, 안산 77.1%, 의정부 74.5% 고교 평준화 제도 도입 찬성 학생.학부모.교원 대상 여론조사 실시 결과 경기도 고교 평준화 확대 시행에 대한 학생.학부모.교원 대상 여론조사 결과, 광명 78.3%, 안산 77.1%, 의정부 74.5%가 고교 평준화 도입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8월 25일부.. 교육현안과이슈 2010.09.15
광명시민 78.3%, 고교평준화 도입 찬성 광명시민 78.3%, 고교평준화 도입 찬성...평준화연대, 단호한 ‘제도 도입’ 요구 경기고교평준화연대, 기자회견 갖고 계획대로 평준화 도입 요구...경기도교육청, 찬성이 압도적 여론조사 발표...2012년 도입 ‘순항’ 2010년 09월 15일 (수) 13:44:07 강찬호 okdm@naver.com 경기고교평준화시민연대는 그동안 경기.. 교육현안과이슈 2010.09.15
깜짝 놀랄 조선왕조실록 깜짝 놀랄 조선왕조실록 (펌) 조선왕조실록은 보물창고랍니다. 너무나 생생한 역사의 기록물들이 가득합니다. 7개 국어에 능통했던 신숙주. 보통 4-5개의 국어에 능통한 사람을 보고도 천재라고 극찬을 한다. 그런데 한사람이 7개 국어를 할 수 있다면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바로 조선조에 영의정을 지.. 유용한정보^^ 2010.09.07
민주정부 시대에서 신보수 정권으로 이행한 두 가지 이유 민주정부 시대에서 신보수 정권으로 이행한 두 가지 이유 반독재 민주정부 시대에서 신보수 정권으로 이행하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작용했다고 생각한다. 첫째, 1987년 6월 민주항쟁이라고 하는 국민적 항쟁 속에서 당연하게 전제되고 합의되었던 개혁 의제들이-철저하건 불철저하건 간에-종.. 독서카드 2010.09.02
과연 한 두 악인의 문제인가? - 불편해도 괜찮아 과연 한 두 악인의 문제인가?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 <마이너리티 리포트>나 <본 아이덴티티> 씨리즈 같은 할리우드 영화들이 갖는 재미있는 특징도 지적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영화들은 모두 처음 시작할 때는 매우 요란하게 전체 국가시스템이 잘못 작동되어 그야말로 괴.. 독서카드 2010.08.28
왜 한국은 아직도 일본과 화해를 하지 않습니까? 왜 한국은 아직도 일본과 화해를 하지 않습니까? (1992년 대선 실패 후 영국으로 유학 중인 시기) 옥스퍼드 대학에서 강의를 할 때였다. 일본인 학생이 질문을 했다. “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많은 나라들이 영국과 프랑스의 식민지였습니다. 그렇지만 이들 나라들은 지금 종주국과 사이좋게 지내고 있.. 독서카드 2010.08.09
한 명의 인재가 1만명을 먹여 살린다? 한 명의 인재가 1만명을 먹여 살린다? 마지막으로 근본적인 질문 하나를 던지고 싶습니다. 노조의 파업이 있을 때면 언론에는 그 노조원들의 평균임금이 6천이라거나, 사장과 비슷하게 9천만원대의 연봉을 받는 직원이 400명에 이른다는 식의 보도가 자주 나옵니다. 이런 보도를 접한 여론은 노조의 파.. 독서카드 2010.08.08
노무현 정권의 경제정책 - <노무현이 꿈꾼 나라> 중에서. 노무현 정권의 경제정책 - <노무현이 꿈꾼 나라> 중에서. 노무현 정권은 김대중 정권에 비해 훨씬 더 강하게, 그리고 임기 내내 좌우 양쪽으로부터 공격에 시달렸다. 보수 세력은 민주투사 출신의 성격이 강한 노무현 정권에 대해 더 우려했고, 반대로 진보 세력은 그만큼 기대가 컸던 탓이다. 김대.. 독서카드 2010.08.07
모든 인간은 보수적이다 (유시민 강연록 중에서) 모든 인간은 보수적이다 <유한계급론>이라는 책을 쓴 소스타인 베블런은 “모든 인간은 보수적이다”라고 했습니다. 이 사람은 미국에서 발생한 이른바 제도주의 경제학파의 창시자에 해당합니다. 이 사람은 빈부나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모든 인간이 보수적이라고 했어요. 왜냐하면 인간은 제.. 독서카드 2010.08.07
최대주의 (유시민 강연록 중에서) 최대주의 (유시민 강연) “나는 문성근이 좋은데 넌 왜 이해찬이 좋다고 우기는 거야”하면서 주먹다짐하지는 않죠. 그리고 매일 친하게 지내다가 갑자기 “넌 이해찬 좋냐, 난 문성근 좋다” 이러면서 절교하진 않죠? 취향이 다 다르잖아요. 다양성을 인정해주잖아요. 그런데 정치로 오면 이게 되지 .. 독서카드 2010.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