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거짓말에 속지 마세요 | |
“서민들을 위해 주택 늘리고 종부세 깎아준다” 투기 부추기는 정부·기득권층 ‘대국민 사기극’ | |
토지+자유연구소 기획·전강수 남기업 이태경 김수헌 지음/후마니타스·9000원
2005년 현재 주택보급률은 105.9%로 집은 남아돈다. 집이 남아도는데도 자기 집 가진 사람들 비율(자가 보유율)은 60%를 간신히 넘는 수준이다. 집이 남아도는데도 자기 집 없는 사람이 여전히 많고 집값은 계속 올라가는 건 단순한 수요-공급 차원이 아닌 다른 요인이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들 대다수는 그게 바로 불로소득을 노린 부동산 투기 때문이라는 걸 잘 알고 있다. 국민 가계자산의 80%가 부동산에 잠겨 있고, 거의 모든 국민들이 남들의 부동산 투기를 비난하면서도 손해 보지 않기 위해, 또 기왕이면 좀더 이익을 얻기 위해 쉴 새 없이 서로 눈치를 보며 부동산 투기에 각자 매진해야 하는 이상한 나라. 결과적으로 다수가 투기에 가담해, 누가 투기를 이유로 다른 누구를 도덕적으로 비난할 수조차 없는 투기공범이 돼버린 나라. 그리하여 한국의 땅값은 이미 오래전에 넓이가 100배가 넘는 캐나다나 유럽 부자나라 프랑스 땅을 몇 번이나 거듭 사고 남을 정도로 뛰었다. 이 아사리판에서 승자는 큰손들이다. 뒤쫓아가려고 아등바등하는 다수의 개미투기꾼들은 영원히 따라잡을 수 없는 큰손들의 게임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기회균등이라는 미명하에 그들의 양심 바늘 끝을 무디게 만들어주는 엑스트라에 지나지 않는다.
대통령은 투기도 결국 공급부족 때문이라고 주장할지 모르나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어선 현실에선 오히려 투기가 국부적 공급부족 현상을 만들어내고 그것이 투기를 더욱 부채질하는 악순환을 부르고 있다는 게 진실에 가깝지 않을까. 지난해 11월 설립된 ‘토지+자유 연구소’가 첫 작품으로 내놓은 <부동산 신화는 없다>(후마니타스 펴냄)의 문제의식을 수용하면, 감세론을 바탕에 깐 대통령의 공급부족론은 문제를 그냥 잘못 짚은 정도가 아니라 의도적으로 그런 방향으로 몰아가고 있다는 의심을 할 수밖에 없게 된다.
지난 5월30일 이혜훈 의원(서울 서초갑)은 1가구 1주택 보유자에 대해 종합부동산세를 면제해 주고 현행 세대별 합산 과세를 인별 과세로 전환하자는 종합부동산세 개정안을 제출했다. 7월24일에는 이종구 의원(서울 강남갑)이 개정안을 냈다. 종부세 적용 집값 하한선을 지금의 6억원에서 9억원으로 올리고, 세대별 합산을 인별 합산으로 바꾸며, 60살 이상 1가구 1주택 소유자로 종합소득이 3600만원 이하이고 주택 공시가격이 15억원 이하인 경우 종부세를 면제하자는 내용이었다.
이 한나라당 의원들 개정안대로 되면 종부세는 사실상 폐지되는 것이다. 종부세의 주택분 과세기준을 6억원에서 9억원으로 올리면 기존 과세 대상자 가운데 약 60%가 제외되며(2007년 기준), 1주택자를 과세대상에서 빼면 약 40%가 면세혜택을 보게 된다. 또 과세방식을 인별 합산으로 바꿀 경우, 예컨대 부부 공동명의로 된 공시가격 18억원의 고가주택 보유자들은 남편과 아내 각기 9억원 미만 주택 소유자로 간주되기 때문에 과세대상에서 빠지며, 18억원 이상 주택 보유자도 부부 공동명의로 하면 세금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줄고 3명 이상의 세대원 명의로 변경하면 아예 종부세를 면제받을 수도 있다. 그리하여 개정안대로 바뀌면 과세대상자는 지난해 37만9천 세대에서 5~6만 세대 정도로 준다. 이 37만9천 세대라는 게 지난해 종부세 납부인원 48만6천명 가운데 주택분 과세대상자 38만3천명에서 법인을 뺀 수치인데, 주민등록상 전체 세대의 2.0%, 주택소유세대의 3.9%에 지나지 않는다. 게다가 종부세 주택분 납부자의 약 60%는 9억원 이하 주택 소유자들이고, 종부세를 내는 고가주택의 실효세율도 공시가격 10억원 주택(시가 약 12~13억원)이 0.52%, 6억원 주택(시가 7~8억)은 0.3%에도 못 미친다. 외국 주요국들은 평균 1% 정도를 낸다. 말하자면 두 의원의 개정안은 전체 세대의 2%, 그중에서도 주로 공시가격 9억원 이상의 소수 고급주택 소유자들에게 매겨지는 국제적 평균치 이하의 세율을 더 깎자는 것이다.
구성원 모두가 일한 대가가 아니라 불로소득을 향해 질주할 때 그 사회는 지탱될 수 없다. 부자든 빈자든 공멸한다. 부동산을 많이 보유하거나 비싼 걸 보유할수록 더 많은 세금을 매기는 종부세는 그걸 막기 위해 2005년 12월 여야 합의로 만든 최소한의 장치이자 보유세 현실화의 첫걸음이다.
<부동산 신화는 없다>는 그런 흑색선전의 허구성을 밝히고 “종부세를 포함한 보유세 강화가 우리 사회의 고질병인 토지투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그리고 실증적으로 보여주고자” 썼다. 국민소득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보유세가 이미 높다, 보유세가 전가돼 서민 주거비를 오히려 올린다, 종부세 때문에 부자들이 돈을 쓰지 못해 경기가 더 침체된다, 종부세를 국세로 한 것은 지방의 과세 주권 침해이며 이중과세다, 1가구 1주택자에게도 중과하는 것은 징벌적 세금이다, 소득 없는 고령자에게 종부세를 부과하는 건 쫓아내자는 짓이다, 국민 다수가 종부세를 반대한다, 종부세와 양도세 중과로 부동산시장이 동결돼 서민 생계가 더 어려워졌다는 얘기들은 다 사실이 아니다. <부동산 신화는 없다>가 그 이유를 설명한다. 한승동 선임기자 sdhan@hani.co.kr, <한겨레> 자료사진
|
'독서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94년 신분제 철폐 - 수천 년 동안의 사슬 (0) | 2008.10.07 |
---|---|
홀로 나라를 지키다 - 1323년 이제현의 입성책동 반대운동 (0) | 2008.10.06 |
한.일 우정 민영화 3대 차이점 (0) | 2008.09.12 |
권정생, <우리들의 하느님> 중에서 (0) | 2008.09.12 |
[도서] 언제나 써바이 써바이 (0) | 2008.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