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현실그대로

‘이지원은 특허 낸것으로 노무현 개인것’

강산21 2008. 8. 6. 14:52

‘이지원은 특허 낸것으로 노무현 개인것’

2008년 08월 06일 (수) 06:14   CNBNEWS

 

▲ CNB뉴스,CNBNEWS ,씨앤비뉴스 - 보다 많은 국민과 소통을 위한 서버 확장작업의 일환으로 지난 4일 중지됐던 노무현 전 대통령의 홈페이지인 ‘사람사는 세상’이 재가동에 들어갔다.

이에 대해 노 전 대통령측은 이지원시스템은 노 전대통령이 특허청에 특허를 등록해 놓은 것으로 노 전 대통령의 개인 특허권이며 지금 검찰조사가 진행중이어서 조사과정에 밝혀질 것이며 ‘이지원’에 대해 민사소송에서도 노 전 대통령의 소유것임을 증명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청와대 서버를 통째로 가져갔다”느니 “유령회사를 동원했다”느니 하는 청와대 익명의 관계자가 지금까지 제기한 모든 의혹이 거짓으로 드러났다고 노 전 대통령측은 주장하면서 ‘이지원’시스템은 노 전 대통령이 특허 낸 개인 사유물이라는 주장하고 있다.

이와관련, 김정수 비서관은 최근 자료를 통해 “이제는 국가기록원을 내세운 거짓말 공세까지 등장했다. 거짓말 양파의 마지막 껍질이 벗겨진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김 비서관에 따르면 노 전 대통령이 퇴임 직전 7대의 서버로 이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따라서 우리가 반환한 하드디스크만이 아니라 별도의 서버에 장착된 하드디스크에도 대통령기록물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니 국가기록원은 7대의 서버 모두를 국가에 반환하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 비서관은 한마디로 터무니없는 주장이자, 최소한의 확인도 거치지 않은 엉터리 거짓말이다고 반박했다.

우선, 노 전 대통령이 퇴임 직전 구입한 7대의 서버 중에서 봉하마을 사저에서 ‘대통령기록물 열람’을 위해 사용된 서버는 2대 뿐이며 이는 7월 13일 국가기록원측이 봉하마을을 방문했을 때 직접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 비서관은 “그렇다면 청와대와 국가기록원이 기록물 유출의 진원지로 의심하고 있는 나머지 5대의 서버는 어디 있는가?”라고 반문하면서 그 5대의 서버는 지금, 노무현 전 대통령 홈페이지인 ‘사람사는 세상’의 운용에 사용되고 있고, 5대 모두 분당에 있는 온세 IDC(Internet Data Center)에 설치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김 비서관에 따르면 5대의 서버는 도입 당시부터 홈페이지 운용을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고, 퇴임일인 지난 2월 25일에 맞추어 홈페이지 개설을 준비하면서 4대는 2월 중순에, 나머지 1대는 홈페이지 사진자료용 서버로 3월 초순에 분당 IDC로 이전 되었다. 그 후 지금까지 이 서버들은 사람사는 세상 홈페이지의 운용을 위해 가동되고 있다. 이지원과는 전혀 무관한 서버들인 것이다.

이 5대의 서버가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는 지금이라도 분당의 온세 IDC에 확인해보면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김 비서관은 국가기록원의 주장에 대해 “도대체 무슨 근거로 전직 대통령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이런 허위 주장을 내놓았는가? 그것이 국가기록원이 직접 파악한 사실들인가? 직접 파악을 했다면 어떤 경위와 과정으로 조사했는가? 직접 확인한 것이 아니라면 어디로부터 그런 거짓 정보를 입수했는가?”라며 공격했다.

특히 김 비서관은 이 문제는 국가기록원이 두차례 사저를 방문했을 때 전혀 제기하지 않았던 문제였다면서 “당시에는 왜 이런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는가? 방문 당시에 물었다면 충분히 설명되었을 터인데, 그때는 가만 있다 이제 와서 문제를 제기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반문했다.

김 비서관은 결국 국가기록원은 전직대통령과 관련된 중대한 사안에 대해 최소한의 확인도 거치지 않은 무모한 주장으로 스스로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권력의 꼭두각시라는 비난을 자초하기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그는 “청와대는 지금까지 제기한 모든 의혹이 거짓말로 드러났음에도 국민들에게 사과 한번 하지 않은 채 익명의 거짓말을 계속하면서 한나라의 대통령실로서 최소한의 품위마저 내팽개쳐버렸다”며 이제는 더 이상 국민들을 짜증나게 만드는 ‘거짓말 공세’를 중단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특히 김 비서관은 노 전 대통령이 이지원 시스템에 대해 정부에 돌려줘 약속을 지켰며 이제는 청와대와 국가기록원이 전직 대통령에 대한 공격이 아니라 전직 대통령의 예우에 맞는 열람권 보장을 어떻게 할 것인지 답을 내 놓아야할 차례라고 맞받아쳤다.

- CNB뉴스 김원섭 기자 www.cnbnews.com